라우터 포트 유형, 라우터 구조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게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콘솔(Console)
PC 시리얼 포트와 연결하여 라우터를 설정하거나, 라우터 관련 정보 확인을 할 때 사용한다.
PC와 연결하면 바로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패스워드 설정을 하여 관리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접속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연결하는 케이블에는 롤오버 케이블 또는 콘솔 케이블이 있다.
이더넷(Ethernet)
LAN 장비들과 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며, LAN 구간에 대한 기본 게이트웨이를 수행한다.
MAC 주소가 기본 설정되어 있으며, IP 주소 설정이 필요한 인터페이스
종류로는 이더넷(10M), 패스트 이더넷(100M), 기가비트 이더넷(1000M)
연결하는 케이블에는 UTP 케이블이 있다.
시리얼(Serial)
WAN 구간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며, IP 주소 설정이 필요하다.
사용하는 프로토콜에는 HDLC, PPP, Frame-Reply
CISCO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HDLC 프로토콜이 설정되어 있다.
연결하는 케이블에는 V.35 시리얼 케이블이 있다.
라우터 구조
RAM
램에 스위치와 라우터의 운용 시스템이 올라가며, 휘발성이다.
시스코 장비에서 OS(운영체제)가 존재하는 데 이를 IOS라 부르며, OS가 램에 올라가게 된다.
라우팅 테이블과 config(설정) 구성 파일(인터페이스 IP 주소, 라우팅 프로토콜)이 올라가게 된다.
전원이 꺼지면 RAM의 특성상 휘발성으로 정보가 다 날아간다.
NVRAM
Non Volatile RAM의 약자이며, 비휘발성이라 전원이 꺼지더라도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다.
show running-config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설정된 정보를 볼 수 있는데(인터페이스에 할당된 IP 주소, 라우팅 정보), 그 정보를 wr이나 copy r s로 저장할 수 있다.
전원이 꺼져서 정보가 다 날아가 버리면 처음부터 다시 설정하거나, 기업에서는 엄청난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이 구성 파일은 NVRAM에 저장되어 전원이 켜지면 램으로 올라와서 작동하는 원리 (Config 정보가 저장되는 곳)
ROM
가장 기본적인 내용이 들어가 있다.
스위치와 라우터가 전원이 켜지고 나면 스스로 상태 점검을 하고 운영체제(IOS)를 가져다 메모리에 올릴 것인지를 적어 놓는다.
PC에서 BIOS 같은 것이 들어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또한, 롬에는 기본적인 IOS가 들어있다. 라우터에 문제가 생기면 기본적인 IOS를 롬에서 가져오기 위함이다.
Flash Memory
플래시 메모리안에 운영체제 IOS가 들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다.
플래시 메모리를 교체하거나 확장을 할 수 있다.
NVRAM과 차이점은 플래시 메모리는 용량이 크다.
NVRAM은 구성 파일 저장용이고, 플래시 메모리는 IOS 파일 저장용으로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