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0X 2022. 5. 26. 22:55
네트워크 관리사 필기시험을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개요

 

RFC 2328에 규정된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로, 벤더사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기종의 라우터에는 사용이 가능하다.

RIP나 EIGRP보다 다소 복잡한 면이 존재하지만, area(구역) 개념을 통해 독립적으로 구역에 따라 각각의 라우팅 환경을 세부 조정할 수 있고, VLSM을 잘 지원하므로 이를 활용한 계층화된 라우팅이 가능해서 중/대규모의 네트워크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현재 제일 인기가 많은 IGP(Interior Gateway Protocol)이다.

 

OSPF 프로토콜 요약

 

링크 상태(Link-State[LS]) 라우팅 프로토콜로, 최단 경로 우선(Shortest Path First) 알고리즘으로 다익스트라(Dijkstra) 알고리즘을 채택해서 사용하고 있다.

백본(backbone) 영역을 반드시 경유하기 패킷을 전달하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Area 단위로 구분되며, 별도로 한 라우터 내에서 복수 개의 OSPF 프로세스를 구분하기 위해 라우터 기기 내에서 독립적인 Process ID를 사용한다.

 

OSPF 프로토콜 특징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 내 라우팅 정보의 교환으로 발생하는 트래픽 부담을 줄인다.

라우팅 정보 업데이트 시 224.0.0.5와 224.0.0.6의 Multicast 주소와 89번의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

네트워크 내에서 변경사항 발생 시 즉시 해당 내용을 알리며, 변경 사항이 없더라도 주기적으로 30분마다 상대방과 라우팅 정보를 서로 교환한다.

Area(구역) 개념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를 작게 나눌 수 있다.

Area-id가 0인 중추신경계 역할을 하는 백본(Backbone) 영역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 모든 백본이 아닌 Area는 이 백본 영역과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VLSM을 확실하게 지원하는 Classless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기존의 한정된 IPv4 자원의 사용 효율성을 높이며 라우팅 정보 요약(Summarization)을 지원하므로 여러 개의 통합 가능한 라우팅 정보를 하나로 묶어 보다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

RIP(~15hop까지 가능)과 다르게 홉 카운트에 제한이 없다.

OSPF는 Metric 값으로 단순히 hop 카운트가 아닌 복합적인 요인을 사용하므로 경로 설정이 더 정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