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송 오류 검출
2022. 5. 25. 17:08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게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패리티 검사(Parity Check) 전송하려는 비트 블록의 끝에 한 비트의 0 또는 1을 추가하여 1의 개수를 홀수나 짝수가 되도록 하는 기법 정보를 구성하는 비트 수가 적고,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을 때 사용한다. 짝수 개의 비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는 오류 검출이 불가능하다. 3비트의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오류 검출은 가능하지만 정확히 어떤 위치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하기 쉽지가 않다. 블록 합 검사(Block-Sum Check) 2차원 패리티 검사 방법 1차원(수평)으로만 오류를 검출할 경우 2비트 오류는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다. 여러 개의 비트 블..
OSI 7계층
2022. 5. 25. 16:59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1계층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하드웨어 전송 기술로 이루어져 있다. 전기적, 기계적인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하는 계층이다. 비트 0,1의 통신 단위로 통신한다. 대표적인 장비는 통신 케이블, 허브, 리피터, 컨넥터, NIC 등이 있다.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Point to Point 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다. 전송 데이터에 대한 CRC 오류 제어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개체들 간 데이터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데 필요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장비로..

TCP/IP
2022. 5. 25. 16:52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TCP/IP의 개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이다. TCP/IP를 통하여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수많은 컴퓨터들 간에 통신이 가능해진다. TCP는 메시지나 파일들을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일과, 수신된 패킷들을 원래의 메시지로 재조립하는 일을 담당한다. IP는 각 패킷의 주소 부분을 처리함으로써, 패킷들이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한다. TCP/IP와 OSI 7 계층의 비교 TCP/IP의 각 계층은 OSI 7 계층과 유사한 기능을..

IPv4
2022. 5. 25. 16:45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IPv4 IPv4는 32비트이며, 8비트 단위로 점을 찍어 구분합니다. 8비트(256)를 옥텟이라고 표현한다. 4개의 옥텟과 3개의 .으로 구분한다. IPv4의 개수는 4,294,967,296개 (2의 32승, 65536x65536) 32비트로 되어 있어서 아래와 같이 2진수로 표기할 수 있다.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0.0.0.0 ~ 255.255.255.255 현재는 부족한 IP 주소를 대체하기 위해 IPv6(128bit)가 만들어졌다. 네트워크 부..
라우터 포트 유형, 라우터 구조
2022. 5. 25. 16:41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게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콘솔(Console) PC 시리얼 포트와 연결하여 라우터를 설정하거나, 라우터 관련 정보 확인을 할 때 사용한다. PC와 연결하면 바로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패스워드 설정을 하여 관리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접속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연결하는 케이블에는 롤오버 케이블 또는 콘솔 케이블이 있다. 이더넷(Ethernet) LAN 장비들과 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며, LAN 구간에 대한 기본 게이트웨이를 수행한다. MAC 주소가 기본 설정되어 있으며, IP 주소 설정이 필요한 인터페이스 종류로는 이더넷(10M), 패스트 이더넷(100M), 기가비트 이더넷(1000M) 연결하는 케이블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