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7] Job for named.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with error code.
2022. 5. 26. 12:27
공부자료/Linux
Job for named.service failed because the control process exited with error code. See "systemctl status named.service" and "journalctl -xe" for details. 네임드를 실행시킬 때 이런 식으로 에러가 발생했는데 되게 단순한 오류 였지만 뻘짓하면서 고치는 방법을 찾았는데, 안 까먹으려고 블로그에 작성한다. 에러 발생 이유 -rwxr-xr-x. 1 root root 187 12월 30 17:20 파일명 에러 내용 named[115040]: directory '/bind/var' is not writable named[115040]: /bind/etc/named.conf:3: parsing fa..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
2022. 5. 26. 12:24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다중 프로그램 기법 메인 메모리에 여러 개의 작업을 쌓아 둔 후 CPU가 작업을 오가며 동시에 실행하는 기법이다. 운영체제는 프로그램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상대방의 영역에 침범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의 메인 메모리 관리 기법으로는 고정 분할 메모리 관리와 가변 분할 메모리 관리가 있다. 고정 분할 메모리 관리 '고정 분할(Fixed Partition) 메모리 관리 기법'은 가장 간단한 메모리 할당 방법으로 메인 메모리를 고정된 크기로 미리 나눠 두었다가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할당한다. 단편화(Fragmentation) 작업량과 분할 공간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아 빈..

프로세스
2022. 5. 25. 20:32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프로세스의 개념 프로세스(Process) 실행 명령을 받아 메인 메모리로 올라간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상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뜻한다. 프로세스는 운영체제에서 운영되는 시스템 작업의 기본 단위 준비(Ready) 생성된 프로세스가 프로세서인 CPU 사용 시간을 할당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상태 실행(Running) CPU에 의해 프로세스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 '종료' 프로세스의 모든 작업이 끝나면 종료된다. '중단/방해' 프로세스의 CPU 할당 시간이 완료되거나 방해가 발생하면 준비 상태로 넘어간다. 입출력 또는 이벤트 기다림'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입출력 명령을 마치면 CPU 사용..
정보 통신
2022. 5. 25. 20:26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정보 통신의 개념 정보의 개념 자료를 사용 목적에 따라 평가하고 가공 처리하여 의미 있는 형태로 변환 정보를 체계화한 것을 지식 정보라고 표현한다. 순서는 정보 소스 > 데이터 > 정보 > 지식 정보 통신의 개념 멀리 떨어져 있는 다양한 장치들 간에 여러 종류의 전송 매체를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 통신의 필요 요소는 송수신 정보원, 전송 매체, 통신 프로토콜 통신 프로토콜 (통신 절차, 형식, 언어 규약) 정보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송/수신자(DTE) > 신호 변환 장치(DCE) > 통신회선 > 신호 변환 장치(DCE) > 송/수신자(DTE) 정보전송시스템 - 정보 전송만을..
데이터 전송
2022. 5. 25. 20:23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데이터 전송의 유형 단방향 전송 (Simplex Transmission) TV, 라디오 반이중 전송 (Half Duplex Transmission) 무전기 등 양방향으로 전송되긴 하지만 한번에 한쪽으로만 전송하는 방식 전이중 전송 (Full Duplex Transmission) 휴대폰 등 양방향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식 데이터 전송의 유형 (회선 접속 방식에 따른 분류) 점대점 전송 (Point-to-point Transmission) 컴퓨터에서 일대일 방식으로 직접 연결하는 전송 방식,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는 전용 회선을 사용한다. 단말기를 여러 대 연결할 경우에도 일대일 연결이므..

전송 오류 검출
2022. 5. 25. 17:08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게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패리티 검사(Parity Check) 전송하려는 비트 블록의 끝에 한 비트의 0 또는 1을 추가하여 1의 개수를 홀수나 짝수가 되도록 하는 기법 정보를 구성하는 비트 수가 적고,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을 때 사용한다. 짝수 개의 비트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는 오류 검출이 불가능하다. 3비트의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오류 검출은 가능하지만 정확히 어떤 위치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하기 쉽지가 않다. 블록 합 검사(Block-Sum Check) 2차원 패리티 검사 방법 1차원(수평)으로만 오류를 검출할 경우 2비트 오류는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다. 여러 개의 비트 블..
OSI 7계층
2022. 5. 25. 16:59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1계층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하드웨어 전송 기술로 이루어져 있다. 전기적, 기계적인 신호를 주고받는 역할을 하는 계층이다. 비트 0,1의 통신 단위로 통신한다. 대표적인 장비는 통신 케이블, 허브, 리피터, 컨넥터, NIC 등이 있다.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Point to Point 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이다. 전송 데이터에 대한 CRC 오류 제어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개체들 간 데이터를 전달하고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데 필요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장비로..

TCP/IP
2022. 5. 25. 16:52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TCP/IP의 개념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프로토콜이다. TCP/IP를 통하여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수많은 컴퓨터들 간에 통신이 가능해진다. TCP는 메시지나 파일들을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일과, 수신된 패킷들을 원래의 메시지로 재조립하는 일을 담당한다. IP는 각 패킷의 주소 부분을 처리함으로써, 패킷들이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한다. TCP/IP와 OSI 7 계층의 비교 TCP/IP의 각 계층은 OSI 7 계층과 유사한 기능을..

IPv4
2022. 5. 25. 16:45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IPv4 IPv4는 32비트이며, 8비트 단위로 점을 찍어 구분합니다. 8비트(256)를 옥텟이라고 표현한다. 4개의 옥텟과 3개의 .으로 구분한다. IPv4의 개수는 4,294,967,296개 (2의 32승, 65536x65536) 32비트로 되어 있어서 아래와 같이 2진수로 표기할 수 있다.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0.0.0.0 ~ 255.255.255.255 현재는 부족한 IP 주소를 대체하기 위해 IPv6(128bit)가 만들어졌다. 네트워크 부..
라우터 포트 유형, 라우터 구조
2022. 5. 25. 16:41
공부자료/Study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게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콘솔(Console) PC 시리얼 포트와 연결하여 라우터를 설정하거나, 라우터 관련 정보 확인을 할 때 사용한다. PC와 연결하면 바로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패스워드 설정을 하여 관리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접속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연결하는 케이블에는 롤오버 케이블 또는 콘솔 케이블이 있다. 이더넷(Ethernet) LAN 장비들과 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이며, LAN 구간에 대한 기본 게이트웨이를 수행한다. MAC 주소가 기본 설정되어 있으며, IP 주소 설정이 필요한 인터페이스 종류로는 이더넷(10M), 패스트 이더넷(100M), 기가비트 이더넷(1000M) 연결하는 케이블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