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리사 필기시험을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란?
관리자가 경로를 지정하지 않아도 알아서 패킷이 길을 찾아 나가는 다이내믹 라우팅 프로토콜(Dynymic Routing Protocol)의 방식 중, 디스턴스 벡터(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로 오로지 거리(Hop/ 라우터 1대를 의미)와 방향을 기준으로 데이터가 담긴 패킷을 전달하는 프로토콜
RIP 특징
AS(Autonomous System) 내부를 구성하는 내부용 라우팅 프로토콜(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경로를 설정하는 기준은 거리(Hop) 카운트로서 최대 15개까지만 허용
디폴트 라우팅 업데이트 주기는 30초이며, 업데이트 시 경로 이상이나 새로 생긴 경로 등의 정보를 갱신한다.
* 라우팅 광고 : 라우터, 무선 노드 등 장비에서 장비들 간에 일정 주기 또는 필요시에, 자신 및 정보(라우팅 갱신 정보 등)를 알리는 과정
RIP 장점 및 단점
장점:
소규모 네트워크 상에서 효율적이다 (메모리 등의 자원을 적게 사용한다)
비교적 구성이 간편하다.
표준 라우팅 프로토콜로써 모든 제조사의 라우터에서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호환성이 좋음)
Cisco 라우터의 경우 최소 4개부터 최대 6개의 경로에 대한 로드밸런싱이 가능하다 (패킷을 여러 경로로 나누어 보낼 수 있음, 부하 분산 처리)
단점:
홉 수가 16 이상이면 네트워크를 찾지 못하며 데이터를 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속도나 거리 지연 등을 고려하지 않아 최적의 경로 산정에 비효율적일 수 있다.
전체 경로를 담은 라우팅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 함에 따라 전체 네트워크에 트래픽을 유발시켜 과부하를 준다.
모든 라우터들 사이에 동기화를 시켜주지 않으면 패킷의 경로가 부적절하게 될 수 있다.
라우터들끼리 30초 간격으로 주기적인 경로 업데이트를 하며 경로를 재계산함에 따라 몇 개의 라우터만 지나도 수 분이상 소요된다.
느린 수렴 시간 때문에, 나쁜 경로를 다른 라우터에게 전하면 그 라우터는 더 나쁜 정보를 또 다른 라우터에게 전달하면서 결국 무한 홉 수(16)로 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30초마다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홉의 다운 등 정보가 늦게 전달되어 잘못된 경로로 무한 루프(Infinite Loop)를 도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RIP의 두 가지 버전
RIP v1 | RIP v2 |
Classful Routing Protocol | Classful Routing Protocol |
VLSM 지원 안 함 | VLSM 지원 |
No Authentication Support | Plaain Text of MD5 인증 지원 |
브로드캐스트를 사용 | 멀티캐스트를 사용 |
자동 축약 불가능 | 자동 축약 가능 |
RIP v1에 비해 RIP v2는 클래스리스 라우팅 프로토콜, VLSM 지원 등을 통해 IP 주소 절약이 가능해졌다.
또한 보안 인증 기능을 지원하며, 통신 방식을 보안과 트래픽에 취약한 브로드캐스트를 멀티캐스트로 변경
아울러 자동 축약이 가능해졌다.
* 자동 축약 : 네트워크의 공통되는 부분을 요약해서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서 표현하는 것 (라우팅 테이블에서 다루어야 할 정보의 양이 줄어들어 리소스 낭비를 막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