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shed 2022. 5. 26. 22:53
네트워크 관리사 필기시험을 공부 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오류 제어 기법에는 에러 검출 부호를 사용하는 ARQ와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하는 FEC 방식이 존재한다.

 

Stop and wait ARQ

 

송신 측에서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한 후 수신 측 응답을 기다리는 기법이다.

수신 측에서 에러가 없을 경우에는 ACK 응답을,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NAK 응답을 전송한다.

구현 방법은 단순하지만 전송효율이 낮다.

 

Go back N ARQ

 

송신 측에서 프레임에 순서 번호를 부여하여 전송한 후 수신 측에서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의 순서 번호를 응답하면, 송신 측은 오류가 발생한 블록으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블록을 모두 재전송하는 방식이다.

프레임의 수신이 순차적이며 전송효율이 향상된다.

 

Selective ARQ

 

송신 측에서 NAK 응답을 받으면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방식이다.

전송효율은 좋으나 수신 측에서 순서제어를 위한 논리회로 및 큰 용량 버퍼를 필요로 하며, 구현 방법이 복잡하다.

 

Adaptive ARQ

 

채널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에러 발생비율이 높은 경우에는 블록의 길이를 작게 하고, 에러 발생비율이 낮은 경우에는 블록의 길이를 크게 하는 방식이다.

'공부자료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oc Network  (0) 2022.05.26
OSPF  (0) 2022.05.26
IPv6  (0) 2022.05.26
SNMP  (0) 2022.05.26
RIP 라우팅 프로토콜  (0) 2022.05.26
복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