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리사 필기시험을 공부할 때 필기한 내용이라 알고 계시는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아닙니다.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IP 기반 네트워크 상의 각 호스트로부터 정기적으로 여러 관리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거나 실시간으로 상태를 모니터링 및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로 SNMP는 프로토콜일 뿐이며 이를 활용하여 실제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관련 프로그램이 준비되어야 한다.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관리자로 하여금 원격으로 네트워크 장비를 모니터링하고 환경설정 등의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이다.
관리의 편의성을 주지만 여러 취약점들이 존재하여 서비스 거부 공격(DoS), 버퍼 오버플로우, 비인가 접속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할 수 있다.
SNMP 구성 요소는 기본적으로 관리 시스템과 관리 대상으로 나뉘는데, 관리 시스템을 Manage, 관리 대상을 Agent라고 부른다.
SNMP Manager는 Agent에 필요한 정보를 요청하는 모듈이고 SNMP Agent는 관리 대상 시스템에 설치되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Manager에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주로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에서 SNMP를 설정한 MRG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트래픽 관리 등을 위해 사용된다.
└ 여기서 MRGT란 Multiple Router Traffic Grapher)의 약자로 SNMP 기반의 장비 모니터링 프로그램으로 주 용도는 네트워크 트래픽 사용량 모니터링이지만 벤더에서 제공하는 SNMP MIB 값을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SNMP는 OSI 7계층의 Application 계층 프로토콜이며, 메시지는 단순히 요청과 응답 형식의 프로토콜에 의해 교환되기 때문에 전송계층 프로토콜로 UD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공부자료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류 제어 ARQ (0) | 2022.05.26 |
---|---|
IPv6 (0) | 2022.05.26 |
RIP 라우팅 프로토콜 (0) | 2022.05.26 |
3 Way-Handshake (0) | 2022.05.26 |
TFTP (0) | 2022.05.26 |